티스토리 뷰
마음의 건강은 인생의 건강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몸이 건강하다 해도 마음이 불안정하게 되면 인생의 크나큰 오점으로 작용되기도 합니다. 신체적 특징도 성장하면서 바꿀 수 있듯이 정서 역시 건강한 신체와 더불어 함양할 수 있습니다. 어떻게 해야 긍정적인 정서를 가진 아이로 키우는지 그 방법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우리 아이 칭찬하기
아이들에게 칭찬은 엄청난 가치를 지니고 있습니다. 아이들이 하는 행동 하나하나에 잘 한 것에 대해서는 칭찬을 아끼지 않도록 합니다. 특히 사람들을 돕거나 자신이 자랑스럽게 여기는 일에 대해 칭찬을 자주 하게 되면 자신감과 자아존중감을 향상시키게 합니다.
분노를 조절하는 방법 알려주기
감정을 억압하는 것은 마음의 병으로 작용하게 됩니다. 특히 분노에 대한 감정은 그대로 두면 심각한 정서적 문제를 야기하기도 합니다. 아이가 분노에 차 있다면 이 감정을 어떻게 풀어야 할지를 알려줘야 합니다. 말하기, 글쓰기, 놀이, 운동, 음악 등의 방법으로 건전하게 풀어내는 방법과 훈련을 반복합니다.
사랑한다는 표현 자주하기
사랑의 표현과 부모들의 스킨쉽은 아이들이 자신은 충분히 관심과 사랑을 받고 있다고 생각하게 만듭니다. 이런 작용들이 계속 되면 아이들은 자신뿐만 아니라 다른 사람들에 대해서도 긍정적인 이미지를 갖게 됩니다.
긍정적인 말과 생각을 말해주기
생각이 긍정적이다는 것은 정서를 그만큼 손쉽게 긍정으로 바꿀 수 있습니다. 실패에 대해서 질책하기 보다는 긍정적인 말로 용기를 주어 다시 도전할 수 있게 도움을 줍니다. 긍정적인 생각을 자주 표현 하게 되면 아이에게는 그만큼 많은 기회가 생기게 되며, 또한 그런 긍정적인 생각을 표현하는 방법도 알게 됩니다.
감정적인 훈육은 삼가하기
아이의 잘못에 대한 훈육은 필수적이지만 감정적으로 화를 내며 훈육하는 것은 아이의 부정적인 정서를 키울 뿐입니다. 정확하게 무엇이 잘못 된 것인지를 말하고, 이런 잘못으로 인해 상대방이 어떤 감정을 느끼게 되는지를 정확하게 알려주는 것이 좋습니다.
다른 사람과의 비교는 하지말기
형제, 혹은 또래 아이들과의 잦은 비교는 아이를 열등감에 사로잡히게 합니다. 이렇게 열등감이 생기게 되면 행동도 소극적으로 변하게 됩니다.
다른 사람과의 감정에 공감하기
남을 배려하는 마음과 기쁨, 슬픔, 분노 등의 각종 감정들을 다른 사람과 함께 공감하거나 느끼는 것을 훈련하게 되고, 그 방법을 가르치게 되면 보다 건강한 정서 상태를 만드는데 도움을 줍니다.

- Total
- Today
- Yesterday
- 브로콜리
- 야콘
- 몸매 관리 운동
- 피부관리
- 각질
- 미네랄
- 칡즙
- 오미자
- 쑥
- 메밀
- 다이어트
- 수세미
- 녹두
- 미백
- 땅콩
- 재배 방법
- 스트레스
- 이상지질
- 감자
- 긍정적인 아이
- 구기자
- 흑마늘
- 허이디스크
- 헤어스타일
- 은행 열매
- 칡
- 천연 미용재료
- 육아
- 악어자세
- 기상 운동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